본문 바로가기
제약회사 QC 직무소개/GMP 기타

[제약회사-생산]제조지시기록서란? 제지서에 대해 알고싶다면 클릭!

by pharm.lulu 2025. 3. 2.
반응형

이번포스팅에서는 생산 관련 GMP용어를 다뤄볼까 합니다.

생산과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GMP용어로는 제조지시기록서가 있는데요.

현업에서는 흔히 줄여서 '제지서'라고도 부릅니다.

 

1. 제조지시기록서란?

제조지시기록서는 의약품을 생산할 때 작업내용을 기록한 문서입니다. 실제 의약품이 시중에 유통될 때 첨부되는 문서이기도 합니다.

 

즉, 의약품 생산 시 어떤 원료를 얼마나 투입한 뒤 어떤 공정을 거쳐서 얼마만큼의 의약품을 생산했는지 그 일련의 과정을 빼먹지 않고 다 기록한 문서라고 보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을 한번 생산(하나의 Batch No. 마다)할 때마다 작성하고 있으며, 동일한 의약품이더라도 Batch No. 가 다르다면 제조지시기록서를 각각 작성해야 합니다.

 

2. 제조지시기록서를 작성하는 이유

의약품을 개발한 뒤 규제기관(ex 식약처)에 허락을 받고 시중에 판매하려면, 어떻게 의약품을 생산하고 품질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허가자료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이 허가자료에는 의약품을 어떻게 생산하겠다는 의약품 생산과정에 대한 문서도 존재하는데, 제조지시기록서 작성을 통해서 실제 제출한 허가자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산하고 있다고 증거자료를 남긴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제약회사에서 의약품 개발 시 규제기관에 제출한 허가자료와 허가받은 이후 의약품을 생산한 뒤 작성한 제조지시기록서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 문제가 될 경우 해당 의약품이 시장에서 퇴출된다던지, 판매가 정지된다던지 등의 행정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누가 제조지시기록서를 작성할까?

제조지시기록서는 의약품 생산 부서에서 주작업자와 부작업자가 작성합니다. 

의약품 생산행위를 한 작업자(주작업자)가 직접 작성하며, 해당 작업자가 실제 행위를 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작업자(부작업자)가 이중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부작업자와 주작업자가 잘 작성했는지 생산책임자가 한 번 더 검토하고 있습니다.

 

4. 제조지시기록서는 무슨 내용을 어떻게 작성할까?

제조지시기록서에 기입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양식은 제약회사별로 자체제작하여 작성하고 있으므로 회사별로 제조지시기록서 양식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1) 제품명, 제조번호, 공정 시작일 ~ 공정 종료일

2) 각 공정 단계별 수행 내용(설비가동시간, 조작행위, 생산 시 특이사항 등)

3) 각 공정 수행 시 공정 별 관리기준 충족 유무

4) 검체 채취 유무

 

일반적으로 제조지시기록서는 지류형태로 수기로 작성하고 있으며, 디지털화가 됨에 따라 일부 제약회사에서는 태블릿에 전자서명을 하는 형태로 관리하고 있기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