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팅에서 적격성평가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2024.02.12 - [제약회사 업무의 기본 GMP] - [GMP 기본 - 적격성평가 1탄] 장비 적격성평가란?
[GMP 기본 - 적격성평가 1탄] 장비 적격성평가란?
제약회사 채용공고를 보면 직무에 장비/설비 적격성평가, Qualification이라고 명시되어있는 것을 보실 수 있을겁니다. 이번포스팅에서는 적격성평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적격성평가란? 적
gmpmaster.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적격성평가중 가장 중요한 성능적격성평가(PQ)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성능적격성평가 - Performance Qualification
적격성평가는 생산설비, 분석장비 등이 정해진 위치에서 올바르게 작동되는지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로는 의약품 작업장 내 룸, 공정 등에 대해서도 성능적격성평가를 진행하지만, 이번포스팅에서는 설비/장비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성능적격성평가는 실제 가동하는 환경에서 작동시켰을 때 올바른 성능을 나타내는지 평가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성능적격성평가는 Performance Qualification이라고 하며, 현업에서는 앞글자 약어만 추려서 PQ라고 부릅니다.
앞으로는 PQ로 명시하겠습니다.
2. 어떤 장비/설비를 성능적격성평가(PQ) 할까?
의약품 제조소에 설치된 모든 설비와 분석장비는 의약품 규제기관 가이드라인에 따라 PQ를 실시해야 합니다.
타정기, 혼합기, 동결건조기, 포장기 등 생산에 직접 사용하는 설비부터 저울, HPLC, pH미터기, GC 등 품질시험을 위한 분석장비까지 모두 PQ를 해야 하는 대상입니다.
PQ는 말 그대로 성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설비/장비가 노후화될 수 있어서 일회성으로 한 번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평가입니다.
설비/장비 중요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3. 누가 성능적격성평가(PQ)를 할까?
원칙적으로는 QA-품질보증부서에서 의약품 제조소에 설치된 설비와 분석장비에 대해 PQ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계획서, 보고서 등을 작성하여 문서화함으로써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QA부서 인원이 적거나 설비/장비 개수가 너무 많은 회사의 경우에는 QA에서는 언제 PQ를 수행해야 하는지 일정관리만 담당하고 실제 수행은 QC나 생산 등 해당 설비/장비를 가지고 있는 부서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제약회사에 성격에 따라 실시부서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규모가 큰 기업 같은 경우에는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해 QA부서에서 PQ일정을 관리하고 직접적인 PQ수행은 외부업체에 의뢰(하청)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규모가 작은 기업같은 경우에는 비용절감 등을 위해 외부의뢰를 맡기지 않고 자사에서 직접 수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어떻게 성능적격성평가(PQ)를 할까?
PQ의 순서는 일반적으로 PQ 일정 수립 -> 계획서 작성 -> PQ실시 -> 결과기록 -> 보고서 작성 순으로 진행됩니다.
아까 위에서 PQ는 장비/설비 노후화로 인해 정기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렇게 기한이 도래하여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PQ를 재 적격성평가라고 합니다.
재적격성평가 수행 시에는 보고서작성이 완료될 때 까지 해당 장비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제약회사에서는 재적격성평가 수행시 장비 사용 불가 일정을 고려해 서브장비를 여러 대 두고 있습니다.
PQ 장비는 크게 1) 온도와 연관 있는 장비(냉장고, 배양기, 냉동고, 챔버 등)와 2) 온도와 연관이 적은 장비(타정기, 포장기, HPLC, GC 등)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온도와 연관있는 장비 - 온/습도 측정센서 사용
냉장고, 배양기, 챔버와 같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비와 같은 경우에는 장비 내부의 온도분포와 개문 후 일정시간이 지난 뒤 문을 다시 닫았을 때 온도가 얼마나 빠르게 회복되는지 온도회복시간을 확인합니다.
- 온도분포 시험
장비 내부에 골고루 온/습도 측정센서를 놓은 후 약 24시간 동안의 온도분포를 확인하여 모든 센서에서 온/습도가 일정 기준 내로 유지되는지 확인합니다.
- 온도 회복 시험
장비 내부에 골고루 온/습도 측정센서를 놓은 후 일정시간(약 1분 이상) 동안 문을 개문합니다. 일정시간이 흐른 뒤 문을 다시 닫았을 때 온/습도가 원래 관리범위 내로 얼마나 빠르게 회복되는지 회복시간을 확인합니다.
2) 온도와 연관이 적은 장비 - 실제 가동환경을 모사한 환경에서 평가 진행
타정기, 포장기, HPLC와 같은 장비는 실제 사용환경을 모사한 환경에서 장비를 가동하여 올바른 성능을 나타내는지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HPLC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의약품 품질시험에 쓰이는 장비이며, 의약품 제조소에서 생산한 모든 의약품의 품질시험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모든 의약품을 대상으로 품질시험을 하다 보면, 분석조건에 따라(유기용매 비율이 높거나, 의약품 농도가 낮거나 등) HPLC가 작동이 잘 되지 않기도 합니다.
해당 내용을 반영하여 PQ 진행시에는 가장 분석하기 어려운 조건으로 의약품 분석을 진행하여 최악조건에서도 분석이 잘 진행되는지 그 성능을 평가합니다.
'제약회사 업무의 기본 GM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H가이드라인] GMP의 기본이 되는 ICH가이드라인이란? (1) | 2024.07.16 |
---|---|
[크몽 - 전자책 ] GMP용어 어디서부터 알아야하는지 막막하다면? 취준생들을 위한 알기쉬운 GMP용어집 출시 by 제약회사 직원이 말하는 의약품 이야기 (1) | 2024.04.16 |
[GMP 기본 - 적격성평가 1탄] 장비 적격성평가란? (0) | 2024.02.12 |
[안정성 시험] 의약품 사용기한 설정은 어떻게 할까? 안정성 시험에 대해 궁금하다면 클릭! (2) | 2024.01.07 |
[의약품 종류]일반의약품(OTC)와 전문의약품(ETC)의 차이점 (2)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