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C와 QA는 현업에서 전혀 다른 직무인데, 둘 다 품질업무를 하다 보니 취준생분들 입장에서 헷갈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약회사 QC와 QA의 업무차이와 성향별로 어떤 직무가 더 맞는지에 대해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1. QA와 QC 둘다 품질부서인데 뭐가 다를까?
QA는 Quality Assurance의 약어로, 품질보증을 뜻합니다. 즉 제조소에서 생산된 의약품이 우수한 품질의 상태로 병원이나 약국에 납품될 수 있도록 이끄는 부서입니다.
반면, QC는 Quality Control의 약어로, 품질관리를 뜻합니다. 제조소에서 생산된 의약품의 품질이 우수한지 확인하는 부서이지요.
2. 실제 회사에서는 어떤 업무를 할까?
QC와 QA의 업무를 표로 간량하게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QC (Quality Control) QA (Quality Assurance)
역할 | 의약품의 품질이 기준에 맞는지 시험 | 제조소 내 품질 시스템이 잘 운영되는지 검토/관리 |
업무 | 실험실에서 실험, 데이터 작성 | 문서 검토 및 관리, 제조소 내 품질 규정 관리감독 |
환경 | 실험 장비 사용, 물리적 활동 많음 | 사무실 중심, 회의 및 문서업무 위주 |
협업 | 생산, QA 부서와협업 多 | 제조소 내 전부서(생산,QC, 물류 등)와의 품질 관리적 조율 多 |
QC는 시험실에서 의약품이 품질이 기준이내에 맞는지 시험으로 검증하는 것이 주 업무입니다.
따라서, 사무실보다는 시험실 내에서 시험하는 일이 잦고 QC 업무를 하기 위해 기본적인 화학지식이 필요합니다.
반면, QA는 제조소 내 품질시스템이 GMP라고하는 의약품 가이드라인에 맞게 운영되고 있는지 검토하고, 운영되고 있지 않다면 개선조치를 취하는 등의 관리를 하는 것이 주 업무입니다.
따라서, 문서업무가 많고 제조소 내 품질시스템은 생산, QC, 물류 등 공장 내 모든부서에 적용되므로 타 부서와 회의 등으로 소통을 할 일이 잦습니다.
3. 각 직무의 장단점은?
보통 취준생분들이 QA가 QC보다 좋을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하는데 QA가 사무직 위주라해서 모두 장점만 있는 건 아니며, QC가 시험 업무가 주된 업무라고 해서 단점만 있는 것도 아닙니다.
각 직무별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아래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성향과 맞는 직무를 선택한다면, 직무 적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QA (품질보증) | - 사무실 근무 중심, 체력 소모 적음 - 커뮤니케이션, 문서역량 강화됨(타부서 소통많으므로) - 추후 RA 등으로 직무변경하여 커리어 확장 가능 - GMP 흐름 전반을 이해하게 됨 |
- 초기 진입장벽이 있음 (신입 채용 적음, QC 경력자 선호) - 문서 및 규정 업무 중심이라 단조롭게 느껴질 수 있음 - 타부서 소통시 연령대가 높아 소통이 어려울수 있음 (생산부서의 경우 40,50대 직원 많음) |
QC (품질관리) | - 실험 스킬을 직접 익힐 수 있음 - 기기 분석 경험으로 향후 이직시 다른 업종으로 전환 가능 - 업무가 지루하지 않음 - 향후 생산, QA, 연구소 등 타 직무로 이직 가 |
- 야근/주말 근무 가능성 있음 (시험일정에 따라 변동) - 시험위주로 체력적으로 힘들 수 있음 - 시험스킬이 미숙할 경우 초반에 적응 힘들 수 있음. |
4. 나에게 맞는 직무는? – 성향별 추천
직무선택에 있어 정답은 없지만, 보통 QC, QA에 적합한 성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QC가 잘 맞는 사람
- 시험과정에서 답을 찾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 시험방법과 결과가 정해져있으므로 업무 시 인과관계가 뚜렷함
- 꼼꼼하고 반복적인 업무에 강한사람
-> 보통 몇 가지 의약품을 정해서 반복적으로 시험하는 경우가 많음
2) QA가 잘 맞는 사람
- 사람들과 소통을 통해 조율점을 찾을 줄 아는 사람
-> 생산부서 사람들의 경우 자기주장이 강한데, 생산사람들을 설득해서 협의점을 도출할 줄 알아야 함.
- 끊임없이 학습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 GMP규정이 계속해서 바뀌므로 이를 스스로 습득하고 회사에 적용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함
모든 직무에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본인의 성향을 파악하여 어떤 직무에 잘 어울릴지 1차적으로 판단해 본 후 인턴 등을 통해 실무를 직접 경험해 보면 직무 선택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약회사 QC 직무소개 > GMP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약회사-생산]제조지시기록서란? 제지서에 대해 알고싶다면 클릭! (0) | 2025.03.02 |
---|---|
[제약회사 QC 업무] 제약회사 QC가 어떤시험을 하는지 궁금하다면? 제약QC 품질시험을 A부터 Z까지 떠먹여줄 전자책 출시! (0) | 2025.02.10 |
[대한민국약전] 대한민국약전 내용 및 개정이력 확인 방법 (1) | 2025.01.25 |
[USP]USP 내용 및 개정이력 확인하는 방법 (0) | 2025.01.14 |
[GMP 교육 후기] 한국제약바이오 협회 GMP 실사대응 교육 (1) | 2023.11.06 |